주택임대차보호법제7조 2

묵시적 갱신시 보증금을 증액할 수 있는지 여부

■ 임대차분쟁 사건의 개요 임대인은 임차인에게 임차기간 만료시까지 20일이 남지 않은 상황에서 채권적 전세계약을 월차임 지급의 임대차계약으로 변경하지 아니하면 채권적 전세계약을 갱신하지 아니한다는 내용의 문자를 보냈으나, 임차인은 채권적 전세계약이 묵시적 갱신되었음을 주장함. △ 임차인 주장 채권적 전세계약이 묵시적 갱신되어 전 임대차와 동일한 조건으로 다시 임대차한 것으로 보아야 하므로 임대인은 보증금의 증액을 주장할 수 없음. △ 피신청인(임대인) 의견 설령 채권적 전세계약이 묵시적 갱신되었더라도 보증금의 증액을 청구할 수 있으므로 보증금이 증액되어야 함. ■ 관련 규정 주택임대차보호법 제6조(계약의 갱신) ① 임대인이 임대차기간이 끝나기 6개월 전부터 1개월 전까지의 기간에 임차인에게 갱신거절(更新..

생활법률 2022.01.05

임차인의 묵시적 갱신 주장과 임대인의 계약의 종료 주장에 대한 주택임대차 분쟁 사례

임대인(A)는 임차인(B)에게 임차기간 만료 20일 전에 채권적 전세계약을 월차임 지급의 임대차계약으로 변경하지 아니하면 채권적 전세계약을 갱신하지 아니한다는 내용의 문자를 보냈으나, 임차인(B)는 채권적 전세계약이 묵시적으로 갱신되었다고 주장함. □ 임차인(B) 주장 채권적 전세계약이 묵시적으로 갱신되어 전 임대차와 동일한 조건으로 다시 임대차한 것으로 보아야 하므로 임대인의 보증금 증액 요구를 인정할 수 없다고 주장함 □ 임대인(A) 주장 설령 채권적 전세계약이 묵시적으로 갱신되었다고 하더라도, 보증금의 증액은 당연히 청구할 수 있으므로 보증금은 증액되어야 한다고 주장함. □ 쟁점 : 전세보증금의 증액을 주장할 수 있는지 여부 □ 관련 규정 • 주택임대차보호법 제6조(계약의 갱신) ① 임대인이 임대차..

생활법률 2021.12.21
반응형